[카드뉴스]플랫폼 자본주의

플랫폼 자본주의 1장
플랫폼 자본주의란? 플랫폼 자본주의는 아마존, 구글, 페이스북, 우버와 같은 디지털 플랫폼 기업의 성장으로 나타난 경제적 경향성을 말하며, 상품의 교환을 촉진하면서 사용자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런 데이터 수집으로 플랫폼 기업은 독보적인 이점을 가지게 된다.

현재 플랫폼 자본주의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1970년대, 90년대, 그리고 2008년 금융 위기로 플랫폼 자본주의가 탄생할 수 있는 경제 지형(연준 통화정책과 불안정 고용 등)이 형성되었다.

70년대 미국의 대량생산 방식은 아웃소싱과 불안정 고용을 도입한 일본의 "적시 생산" 방식으로 변화되었다. 그럼에도 전후 복구와 새로운 생산자 출현으로 전세계 생산역량에는 과잉이 생겼다. 그리하여 선진국의 제조업 분야에서는 가격과 이윤이 하락하면서 금융위기가 발생했다.

금융위기의 대응으로, 연준은 투자를 활성화하고 주가를 부풀려 부를 생산(그 결과 수요를 창출)하기 위해서 금리를 낮췄다. 이러한 "자산가격 케인즈주의"는 당시는 수익성을 보여주지 못했던 인터넷 스타트업 기업에 투자를 활성화했다.

90년대, 연준이 재차 금리를 낮췄음에도 닷컴버블이 형성되었고 2000년 붕괴했다.

버블 붕괴에도, 연준은 매우 완화적인 통화 정책을 펼쳤고, 이는 결국 인터넷과 디지털 경제의 물리적 기반을 만드는 투자가 되었다.

낮은 금리는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에 기름을 부었고 결국 2008년 금융위기가 발생했다. 그 결과 긴축 정책이 펼쳐졌고 연준의 초완화적인 통화정책(양적완화)으로 기술 분야에 더 많은 투자가 이뤄졌다.

플랫폼 자본주의 2장

5가지 유형의 플랫폼

데이터는 플랫폼 자본주의에서 경쟁우위를 주는 원자재이다. 데이터 수집은 타깃 광고를 가능하고 생산을 최적화한다. 플랫폼 기업은 상품 판매보다는 플랫폼을 대여해 사용 데이터를 수집한다. 사용자와 기업 간의 연결 방식에 따라 사회 인프라를 소유한 5가지의 플랫폼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1) 광고 플랫폼

1990년대 닷컴 버블 붕괴 이후, 벤처 자본이 말라가자 새로운 경쟁자는 경쟁 진입이 어려웠고 기존 인터넷 기반 회사는 당장 수익을 내라는 압력을 받았다. 그 결과, 구글과 페이스북은 타킷 광고를 하기 위해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했고 막대한 수익을 냈다. 하지만 이런 수익은 탈세를 위한 조세회피처로 옮겨두거나 대대적인 인수합병에 쓰여 플랫폼 소유가 집중되는 결과를 낳았다.

2) 클라우드 플랫폼

아마존 프라임이나 킨들(아마존 전용의 전자책 리더)은 수익성이 나지 않았지만, 이윤을 위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사용자를 끌어들였다. 또한 아마존은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아마존웹서비스(AWS)를 통해 이윤을 창출했다. AWS는 내부 컴퓨터 연산 플랫폼(서버, 저장공간, 소프트웨어 도구, 물류창고 노동자 등)으로 개발되었지만, 지금은 모든 산업 부문의 기업이 자동화, 데이터 수집, 효율 극대화, 의사 결정 도구로 AWS를 사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아마존은 다른 산업에 필요한 인프라를 소유하고 통제할 수 있게 되었다.

3) 산업 플랫폼

산업 플랫폼은 생산과정에 데이터 수집 센서, 칩, 추척장치를 장착해 기계의 상태(마모 정도와 파괴 지점 등)와 생산 상황을 끊임없이 공유하면서 효율성을 증대한다. 이를 통해 설문조사 없이도 사용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되었다. 마인드스피어와 프레딕스 같은 기업은 이러한 도구와 서비스를 생산하는 독점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4) 제품 플랫폼

제품 플랫폼은 제품 판매보다는 구독이나 대여를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해 전략적 우위를 점하려 한다. 임금 정체와 저축 감소로 다수가 자동차와 같이 비싼 제품을 구매할 수 없게되자, 제품 대여나 구독이 더 매력적인 대안으로 등장했다. 제품 플랫폼의 예로는 롤스로이스, 집카, 스포티파이, 판도라 등이 있다.

5) 린 플랫폼

우버는 차량을, 에어비앤비는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지 않다. 이런 회사는 소프트웨어와 데이터 분석 플랫폼으로 사용자(생산자와 고객)를 연결한다. 이렇게 초-외주화 모델로 유지비용, 노동자, 훈련 비용은 줄지만 불안정노동 조건은 늘어난다. 긱경제와 공유 경제에서 노동자는 '독립계약자'로 일용직과 비슷하게 선택이 아닌 강제된 결과이다. 실직은 늘어나지만 플랫폼은 클라우드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빌려주면서 성장한다. 하지만 린 플랫폼은 보통 손해를 보면서 운영한다. 비용을 줄이기 위해 임금을 줄이고 미래 수익을 보장하기 위한 네트워크 효과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플랫폼 자본주의 3장 거대한 플랫폼 전쟁

도입

네트워크 효과,데이터 수집과 높은 진입 장벽때문에 플랫폼은 중앙화, 독점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래서 경쟁의 성격이 변화할 가능성이 있다. 즉, 가격 경쟁이 아니라 데이터 추출의 확대 경쟁으로 갈 것이다.

4가지 경향

데이터 추출

경계 관리

시장의 수렴

생태계 폐쇄와 가두리 플랫폼

과제 1

린 플랫폼의 낮은 수익율은 간헐적 과업(장보기나 집 청소 등)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린 플랫폼은 노동을 외주화하기 때문에 훈련이 필요한 고숙련 노동과 일자리를 공급할 수 없고 규모의 경제 혜택도 누릴 수 없다. 더구나 플랫폼 노동자는 임금 삭감에 반대해 노동조합을 조직하고 투쟁에 나서고 있다. 또한, 벤처 자본이 말라가면서 이런 플랫폼 기업의 미래 수익성에 압박을 가하고 있다.

과제 2

플랫폼 기업이 생존하기 위해 비용을 줄이고 가격을 올려 고급 브랜드로 전환하거나 가격을 높이는 대신에 주문형 편의를 제공할 것이다. 하지만 많은 플랫폼 기업은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 90년대 기술 호황으로 인터넷 기반을, 2010년대 기술 호황으로 부자들을 위한 프리미엄 서비스가 생겼다. 광고 플랫폼은 전세계적으로 광고 비용이 줄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광고 플랫폼이 애드블록, 가짜 광고 봇, 스팸을 극복할 수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향후 전망

플랫폼 폐쇄가 강화되면서 광고가 감소하고 시청료 지불 모델이나 직접 요금 모델이 많아지고 있다. 벤처 자본의 투자를 받는 린 플랫폼들은 파산하거나 우버의 자율주행 자동차처럼 제품 플랫폼으로 전환할 것이다. 일부 사람들은 협력적 플랫폼을 대안으로 보지만, 협력적 플랫폼은 데이터 수집, 네트워크 효과, 독점적 플랫폼 배후의 막대한 자원에 맞설 수 없다. 현실적인 해결책은 민중이 통제하고 국가 권력을 이용하는 공공 플랫폼이다. 이러한 공공 플랫폼은 자원을 더욱 효과적으로 분배하고 민주적 참여와 기술 발전을 가능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