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이끄는 민족주의적 보수 백인 기독교 의제(Nationalist Conservative White Christian Agenda, NCWCA)의 급작스러운 진격은 최근 유럽에 충격을 안겨주었다. 미국 바깥에서는 자연스레 ‘최근 일어난 일들이 미국 지배계급의 어떤 내부모순 때문에 일어난 것인가? 미국의 토대와 상부 구조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가? 장기적으로 보아 미국 대외정책에 미칠 이념적, 정치적 영향은 무엇인가? 남반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질 수밖에 없다.
Read More미국이 2차 세계대전 이후 동아시아에서 군사동맹 인프라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패권을 유지하며 중국을 억제하려는 행위가 동아시아의 불안정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러한 미국의 행위가 북-중-러 협력의 강화를 초래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으며. 8월 18일에 열린 "동아시아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미국"이라는 웨비나에서는 동아시아 지역의 여러 활동가들이 모여 각국의 평화운동과 현재 상황이 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토론했습니다. 이 웨비나는 국제전략센터와 트라이컨티넨탈: 사회 연구소가 공동으로 주최한 행사로, 송대한 활동가가 미국의 샌프란시스코 체제와 그 배경을 설명하고. 이 체제는 한반도부터 대만에 이르는 동아시아 국가들이 소련과 중국의 "공산주의 위협"을 억제하기 위해 미국과 양자 협정을 맺게 했고, 그로 인해 이 지역이 분열되었다는 내용으로. 미국은 이 체제를 만들기 위해 일본의 전쟁광들을 지원하고, 남한의 풀뿌리 민주주의를 친일 정부로 대체하며 한국 전쟁의 기반을 마련했으며, 대만에서는 국민당의 백색 테러를 지원하고 있다는 면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Read More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의 갈등과 관련된 최근 회담과 미사일 사용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가 우크라이나가 서방이 제공하는 미사일로 러시아 영토를 공격하는 것을 용인할 가능성을 시사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우크라이나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가 서방 미사일 사용을 주요 주제로 삼고 있다는 점도 언급되어 있다.
이 텍스트는 국제 정치와 군사 전략에 대한 중요한 논의를 포함하고 있으며, NATO 회원국 간의 대화와 그에 따른 잠재적인 결과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Read More미국 경제 및 사회적 쇠퇴의 주요 특징과 원인에 대해 살펴보면, 첫째로 경제적 쇠퇴가 있습니다. 대규모 산업 생산과 농업에 종사하던 사람들이 필요 없어져서 많은 지역이 황폐화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둘째로 중국의 일대일로 이니셔티브는 2013년부터 전 세계 인프라 개선을 추진하면서 미국이 이미 녹슨 벨트와 부서진 도로의 국가로 묘사될 정도로 인프라가 쇠퇴한 것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셋째로, 미국의 정치계급은 긴축 정책을 통해 사회 생활을 파괴하고 부의 불평등이 커지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현재의 정치권은 성장 정체와 인프라 붕괴에 대한 대응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인프라 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도 고정 자본 형성의 격차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Read More미국의 아프간전 패배는 미국의 이라크전 패배(2011)를 떠올리게 한다. 맹렬한 미군의 공격도 이 두 국가를 굴복시키지는 못한 것이다. 이는 오랜 세월에 걸쳐 수립된 국가를 하루아침에 파괴하는 가공할 무력을 가졌음에도 끝내는 세상을 원하는대로 하지 못했던 미국의 나약함을 보여주기도 한다.
Read More국제전략센터는 흑인의생명도소중하다 운동과 경찰 예산을 삭감하고 공동체 프로그램, 교사, 병원, 일자일에 예산을 투입하라는 운동에 연대한다.
#흑인의생명도소중하다 #경찰예산을삭감하라
Read More2018년 미국 중간선거는 민주당이 하원의 233석을, 공화당이 199석을 차지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아직 3개 선거구 개표결과 미확정) 공화당이 상원에서 1석을 추가해 52석(53석이 될 가능성도 아직 남아 있다)을 확보하면서, 이번 선거를 ‘블루 웨이브(민주당 바람)’라고 부르기도 어렵게 되었다.
Read More2016년 봄, 비즈니스위크에 미국 대선 후보 중 한 사람이 이와 같은 예측을 내 놓았다. 그 후보는 다름아닌 도널드 트럼프였고, 그는 공화당에 대한 이야기를 하던 중이었다.. 그의 말은 어처구니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트럼프의 반부패 입장, 포퓰리즘, 그리고…
Read More국제전략센터는 트럼프 미대통령의 한미 FTA 재협상 요구가 한창이었던 지난 8월 26일 한미 FTA 전문가인 이해영 한신대 국제통상학부 교수님의 <한미 FTA 발효 5년의 평가>에 대한 강연을 진행했다. 이후 10월 13일 <한미 FTA 영문 협정문 발췌 강독 모임>에서…
Read More